# Part 13: 생성형 AI 용어집 - **PEFT (Parameter-Efficient Fine-Tuning)**: 거대 언어 모델(LLM)의 사전 학습된 가중치 대부분을 고정한 채, 일부 파라미터만 학습시켜 적은 리소스로 효율적으로 모델을 특정 작업에 맞게 미세 조정하는 기법들의 총칭입니다. - **LoRA (Low-Rank Adaptation)**: PEFT의 대표적인 기법 중 하나로, 기존 가중치 행렬 옆에 작은 크기의 학습 가능한 행렬 두 개(Low-rank 행렬)를 추가하여 파라미터 업데이트를 효율화합니다. - **RAG (Retrieval-Augmented Generation)**: LLM이 답변을 생성할 때, 외부 데이터베이스나 문서에서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(Retrieval)하여 그 내용을 참고해 답변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이는(Augmented Generation) 기술입니다. - **쿼리 변환 (Query Transformation)**: 사용자의 원본 질문을 더 나은 검색 결과를 얻기 위해 여러 개의 다양한 질문으로 변형하거나, 더 명확한 형태로 재구성하는 RAG의 심화 기법입니다. - **재순위화 (Re-ranking)**: 1차적으로 검색된 문서들을 더 정교한 모델을 사용해 사용자 질문과의 관련도 순으로 다시 정렬하여, LLM에게 전달할 최종 문서의 정확도를 높이는 과정입니다. - **AI 에이전트 (AI Agent)**: 목표 달성을 위해 스스로 생각하고(Reasoning), 계획을 세우며, 도구(Tools)를 사용하고,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능동적인 AI 시스템입니다. LLM이 '뇌'의 역할을 수행합니다. - **ReAct (Reason + Act)**: AI 에이전트가 '생각(Thought) -> 행동(Action) -> 관찰(Observation)'의 순환적인 추론 과정을 통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대표적인 프레임워크입니다. - **LangGraph**: 여러 에이전트가 협력하거나 순환적인 작업 흐름을 처리하는 복잡한 AI 시스템을 상태(State) 기반의 그래프 형태로 쉽게 구현하도록 돕는 LangChain의 확장 라이브러리입니다. - **LLMOps (Large Language Model Operations)**: 프롬프트 관리, 정성적 성능 평가, 실행 과정 추적 등 LLM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수명 주기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한 MLOps의 특화된 분야입니다. - **LangSmith**: LLM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통합 플랫폼으로, 복잡한 체인과 에이전트의 내부 동작을 추적, 모니터링, 평가하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.